아트앤스터디
아트앤스터디
  • 1 367
  • 4 426 903

Відео

욕망하는 기계들의 철학과 정치학-들뢰즈·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읽기 -최진석(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Переглядів 4484 години тому
우리를 둘러싼 가족주의와 국가주의, 그것은 정말 우리에게 안락한 삶을 안겨주는가? 『안티 오이디푸스』를 통해 들뢰즈와 가타리는 그것들을 해체하려 시도한다. 그들의 해체는 성공할 수 있을까. 관련 강좌: 욕망하는 기계들의 철학과 정치학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jschoi001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 가기 www.artnstudy.com
8주 완성 일본어 기초 문법: 인문학 강독을 위한 일본어 문법 기초 다지기 -박성관(독립연구자)
Переглядів 1134 години тому
일본어 기초 문법 8주 완성 코스! 일본어 기본 문법과 동사 활용법을 익혀 일본어 텍스트 읽기에 도전해보자. 16시간이면 충분하다! 관련 강좌: 8주 완성 일본어 기초 문법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sgPark002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 가기 www.artnstudy.com
프로이트 읽기-『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유충현(독립연구자)
Переглядів 3629 годин тому
보수적 분위기가 지배하던 빅토리아 시대에, 금기 중의 금기인 유아 성욕을 다루어 스캔들을 일으켰던 프로이트! 온 논란과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가 소신을 굽히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논란의 남자 프로이트와 함께 무의식의 본질에 다가가보자. 강사: 유충현(독립연구자) 관련 강좌: 프로이트 읽기-『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chyoo001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artnstudy.com
테크노페미니즘: 여성과 기술의 새로운 앙상블 -오영진(문화평론가)
Переглядів 53512 годин тому
페미니즘의 새로운 담론으로서 '테크노페미니즘'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미래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 AI와 4차 산업의 시대, 새로운 세계관과 인간관으로서의 테크노페미니즘의 가치와 철학을 제시하고, 이것이 다가올 미래에 과학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구체적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여성과 남성의 이분법적 사고를 뛰어넘어 페미니즘이 가지는 미래 가치를 명쾌하게 보여준다. 강사: 오영진(문화평론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 관련 강좌: 여섯 가지 키워드로 읽는 포스트 인문학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yjoh001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artnstudy.com
꽃보다 남자: 남성과 남성성에 관한 여덟 가지 생각 -이인(인문사회학자)
Переглядів 22916 годин тому
왜 남자들은 길을 묻지 않을까? 왜 상당수의 아버지와 아들은 서로 데면데면할까? 왜 남자들은 성행위를 자존감과 결부시킬까? 남성에 관한 일상적이고도 내밀한 질문들을 펼쳐볼 시간이다. 동시에 남성중심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정작 남성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해보지 못한 우리 모두를 위한 시간이기도 하다. 남성과 남성성에 관한 8인 8색의 논의들로 여러분을 초대한다. 강사: 이인(인문사회학자) 관련 강좌: 꽃보다 남자: 남성과 남성성에 관한 여덟 가지 생각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inlee003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artnstudy.com
하이데거와 함께 예술하기 Ⅱ: 시와 회화로 보는 하이데거의 예술론 -이선일(철학자)
Переглядів 37619 годин тому
많은 연구자들이 하이데거 사유에서 횔덜린 시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지적하지만 언어의 장벽과 문학적 소양의 문제 등 여러 이유로 이 주제를 친절하게 정리한 안내를 구하기는 쉽지 않다. 약 사반세기의 터울을 두고 하이데거의 횔덜린 해석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시와 예술에 관한 관점이 다른 작가들(트라클, 세잔, 클레)의 작품에는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상세하고 꼼꼼한 소개와 정리를 통해 하이데거 후기 예술론의 전모를 밝혀주고 있는 이 강의는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한 선물이 될 것이다. 강사: 이선일(하이데거) 관련 강좌: 하이데거와 함께 예술하기 Ⅱ: 시와 회화로 보는 하이데거의 예술론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silee003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
나와 공동체를 치유하는 동양철학 -김시천(철학자, 숭실대 베어드교양대학 교수)
Переглядів 21921 годину тому
제자백가 사상이 고리타분하고 어렵다고? 그렇지 않다. 장자는 ‘친구’가 되라 하고, 묵자는 노동자의 입장에서 평등을 강조하고, 공자의 애제자 안회는 출세를 하지 않아도 새로운 삶이 있음을 보여준다. 고전은 늙지 않는다! 우리가 알 수 있는 용어들로 질문도 던지고 해답도 해주며, 여전히 우리와 함께 호흡하고 있는 동양철학을 만나보자. 강사: 김시천(철학자, 숭실대 베어드교양대학 교수) 관련 강좌: 나와 공동체를 치유하는 동양철학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scKim004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artnstudy.com
들뢰즈와 네트워크 예술: 시간-이미지 너머, 네트워크-이미지_강사:이지영(철학자)
Переглядів 455День тому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도래 이전에 들뢰즈는 ‘전자기적 이미지’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했다. 하지만 우리는 들뢰즈의 사유를 확장해 이 새로운 기술이 어떤 예술형식과 관객성을 창조하고 있는지 들뢰즈 이후의 영상미학을 쓸 수 있다. ‘네트워크-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우리 시대의 영상미학. 강사:이지영(철학자) 바로가기:www.artnstudy.com/inmoonsoop/Lecture/default.asp?lessonidx=jylee007
가다머의 철학: 실현의 진리를 구하는 가다머의 해석 -박남희(철학자)
Переглядів 231День тому
근대의 서양 철학은 진리와 진리로 통하는 이성의 중요성에 대부분의 힘을 싣고 있었다. 하지만 가다머는 이를 비판하며 이성보다는 실천을, 고정된 진리가 아닌 역사성을 지닌 이해와 실현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서로의 다름을 이유로 수많은 갈등을 마주하고 있는 현 시대에서 가다머의 새로운 해석학은 갈등을 봉합하고 사회 통합을 향해 나아가기 위한 이정표가 되어 줄 것이다. 강사: 박남희(철학자) 관련 강좌: 가다머의 철학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nhPark007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artnstudy.com
행복한 노후를 준비하는 인문학 -강대진(서양고전학자)
Переглядів 205День тому
모든 이에게 평등하게 주어진 것이 있다면 그것은 오로지 ‘시간’일 것이다. 그 시간 속에서 우리는 모두 늙어가고 있다. 그러나 올바르고 행복한 ‘나이 들기’란 과연 무엇인가? 이에 대한 대답을 풀어나갈 강대진 교수의 고전 수업! 강사: 강대진(서양고전학자) 관련 강좌: 행복한 노후를 준비하는 인문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djKang005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artnstudy.com
도나 해러웨이, 곤란함과 함께하기 -최유미(수유너머104)
Переглядів 261День тому
인류, 그리고 자본주의로 인해 파괴되어가는 지구에서 살아남는 것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하지만 타자와 함께 하는 과정은 언제나 곤란함을 수반하는 법. 우리는 그때마다 그동안 타자를 포기하고 배제하는 역사를 이어왔다. 이제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다나 해러웨이가 외친다. “곤란함과 함께하자!”고. 강사: 최유미(수유너머 104 연구원) 관련 강좌: 도나 해러웨이, 곤란함과 함께하기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ymchoi001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artnstudy.com
페미니즘 철학: 제2물결 페미니즘 이해하기 -김은주(철학자)
Переглядів 24414 днів тому
여성은 재생산과 양육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일까? 백인 여성도, 흑인 여성도, 제3세계 여성도 모두 다 똑같은 ‘여성’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제2물결 페미니즘은 현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거리를 제공한다. 남성이 규정한 ‘여성성’의 신화에 반발하고, 가부장제라는 거대한 불평등 ‘구조’의 전복을 외치고, 여성들 간의 연대를 모색하는 제2물결 페미니즘을 만난다! 강사: 김은주(철학자) 관련 강좌: 페미니즘 철학 입문: 제2물결 페미니즘 이해하기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ejkim002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artnstudy.com
페미니즘 철학 입문-페미니즘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은주(철학자)
Переглядів 59914 днів тому
페미니즘, 그리고 그와 관련된 철학은 단지 ‘여성’에 국한된 담론이 아니다. 페미니즘 논의는 '여성'에서 출발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모든 차별에 대한 저항과 차이의 인정이라는 보편적인 문제로 환원된다.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왔던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시작하는 첫걸음을 떼어보자. 강사: 김은주(철학자) 관련 강좌: 페미니즘 철학 입문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ejkim001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artnstudy.com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 함께 읽기 -김은주(철학자)
Переглядів 31214 днів тому
제3물결 페미니즘의 주요 저작인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을 읽는다. 특히 『젠더 트러블』의 독해를 돕는 미셸 푸코의 계보학과 지식/권력의 문제,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 분석학, 프랑스 페미니즘을 교차적으로 짚어가며, 버틀러가 젠더가 문제라고 하는 이유를 살펴간다. 강사: 김은주(철학자) 관련 강좌: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 함께 읽기 www.artnstudy.com/n_Lecture/?LessonIdx=ejkim003 아트앤스터디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artnstudy.com
[합동강좌]8가지 스펙트럼으로 보는 실존주의
Переглядів 45514 днів тому
[합동강좌]8가지 스펙트럼으로 보는 실존주의
[합동강좌] 타자(他者)는 무엇인가?
Переглядів 46514 днів тому
[합동강좌] 타자(他者)는 무엇인가?
라캉이 분석하는 안티고네 욕망의 구조 -백상현(정신분석학자)
Переглядів 63414 днів тому
라캉이 분석하는 안티고네 욕망의 구조 -백상현(정신분석학자)
'나의 죽음'이 갖는 의미: 하이데거 -장의준(철학자)
Переглядів 51621 день тому
'나의 죽음'이 갖는 의미: 하이데거 -장의준(철학자)
기억하고 추억하는 스페인어: 과거 시제 종합 -홍은(도예가, 작가)
Переглядів 10721 день тому
기억하고 추억하는 스페인어: 과거 시제 종합 -홍은(도예가, 작가)
아리스토텔레스가 알려주는 '돈 잘 쓰는 법':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 강대진(서양고전학자)
Переглядів 15721 день тому
아리스토텔레스가 알려주는 '돈 잘 쓰는 법':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 강대진(서양고전학자)
예술이 기술을 바꾼다? 육후이(YUKHUI)의 예술론-예술과 코스모테크닉스 -이승현(미술사학자)
Переглядів 31021 день тому
예술이 기술을 바꾼다? 육후이(YUKHUI)의 예술론-예술과 코스모테크닉스 -이승현(미술사학자)
융의 세 단계 신화와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 김영(인도·신화학자)
Переглядів 74728 днів тому
융의 세 단계 신화와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 김영(인도·신화학자)
달마가 동쪽으로 간 사연은?
Переглядів 27628 днів тому
달마가 동쪽으로 간 사연은?
비극의 주인공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 -김선희(철학자, 이화여대교수)
Переглядів 33128 днів тому
비극의 주인공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 -김선희(철학자, 이화여대교수)
주디스 버틀러와 시몬 드 보부아르의 여성을 보는 관점, 어떻게 다른가? -강사:장의준
Переглядів 384Місяць тому
주디스 버틀러와 시몬 드 보부아르의 여성을 보는 관점, 어떻게 다른가? -강사:장의준
주디스 버틀러와 시몬 드 보부아르의 여성을 보는 관점, 어떻게 다른가? (1) -강사: 장의준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주디스 버틀러와 시몬 드 보부아르의 여성을 보는 관점, 어떻게 다른가? (1) -강사: 장의준
스피노자 윤리학의 목표는?
Переглядів 648Місяць тому
스피노자 윤리학의 목표는?
'자기만의 방'-자본주의 사회에서 '여가'는 가능한가?
Переглядів 465Місяць тому
'자기만의 방'-자본주의 사회에서 '여가'는 가능한가?
마르쿠스 가브리엘, 그는 어떤 철학자인가? -김남시(이화여대교수)
Переглядів 463Місяць тому
마르쿠스 가브리엘, 그는 어떤 철학자인가? -김남시(이화여대교수)

КОМЕНТАРІ

  • @user-kx4df7pw3o
    @user-kx4df7pw3o 5 днів тому

    매월 후원하고 있어요~~^^

  • @domgo241
    @domgo241 14 днів тому

    공정이란말도 미사구어에 불과합니다. 정말로 공정이 중요했으면 시장경제 이전에 "공정"이라는 단어를 붙였겠죠. 굳이 공정을 내세우지 않은건 본인 이론이 엉터리라는 걸 자백하는 꼴이나 다름없습니다. 서양 경제학 이론이 전부 이따위입니다.

  • @domgo241
    @domgo241 14 днів тому

    애초에 노벨 경제학상이란것 이란것 자체가 노벨재단에 허락도 받지않고 월가에서 멋대로 만든 상입니다. 이거 때문에 노벨의 손자되는 사람이 이름 더럽히지 말라고 소송까지 냈었죠.

  • @somej9086
    @somej9086 16 днів тому

    감부인도 대단하지. 내 자식을 살리려고 우물에 빠져 죽으니. 쉬운 것 아니다.

  • @user-jt9xu4eq7j
    @user-jt9xu4eq7j 25 днів тому

    목소리도씩씩하시고 알기쉽게 설명잘해주셔서 이해하기가 쉬웠습니다 교수님! 자주 올려주세요.

  • @user-fx5pw8kh1c
    @user-fx5pw8kh1c 27 днів тому

    강의가 너무 좋습니다~^^

  • @user-dz8dv7zh6b
    @user-dz8dv7zh6b 29 днів тому

    명쾌한 강의와 표현력 최곱니다🎉 강유정의원님 응원합니다🎉

  • @Shimkrishna
    @Shimkrishna Місяць тому

    목소리가 금성이세요. 🙏

  • @cghan1318
    @cghan1318 Місяць тому

    인간이 어떤 조건 하에 있는가? 활동적 삶을 살지 않으면 존재할 수 없다. → 살아 있어야 / 자기 고유의 세계가 있어야 / 공유를 위한 타자가 있어야 → 세계성 : 대상적 세계와 주체적인 세계

  • @ugwangho02
    @ugwangho02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로쟈님.

  • @ugwangho02
    @ugwangho02 Місяць тому

    로쟈와 함께 문학 속의 철학 읽기_이현우

  • @user-nb9dm6kq2k
    @user-nb9dm6kq2k Місяць тому

    범아일여는 진리가 아니다. 인체에 깃든 영혼은 남들과 구별되는 독립적인 個體라서 梵과 같이 않다. 梵과 我는 별개의 존재^^

  • @deuk_cheol
    @deuk_cheol Місяць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ky6ms4ed9b
    @user-ky6ms4ed9b Місяць тому

  • @user-th3yn8wq3l
    @user-th3yn8wq3l Місяць тому

    소동파는 혐한론자 였음................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 Місяць тому

    발음이 분명치 않슴니다.

  • @user-lk5el9mh2e
    @user-lk5el9mh2e Місяць тому

    영상 감사합니다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 @yesno9065
    @yesno9065 Місяць тому

    설득 된다. 공감하고 말았다

  • @myungsooklim9154
    @myungsooklim9154 Місяць тому

    공학하시는 분이 역사강의를 인물로 하시느라 수고 하십니다만 임제 님은 몇세기전의 스님이셨네요

  • @myungsooklim9154
    @myungsooklim9154 Місяць тому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user-xw5iv1yd6i
    @user-xw5iv1yd6i 2 місяці тому

    바로 이해됐어요 ㅜㅜㅜ 구원자 교수님 ㅜㅜㅜ 감사합니다

  • @user-su8jn9lt7g
    @user-su8jn9lt7g 2 місяці тому

    깊이가 느껴집니다 감사를 넘어 경탄하게 됩니다

  • @kimminung1806
    @kimminung1806 2 місяці тому

    대답좀 하고 수업받지 그랬냐 애들아

  • @kanghunahn5217
    @kanghunahn5217 2 місяці тому

    리좀 개념 이해가 부족하시네

  • @user-eh6yf5pu7o
    @user-eh6yf5pu7o 2 місяці тому

    진보가 사실 이런게 진보인대 지금 정치인들봐라 국민들 등골만 치려한다 진짜 ㅋㅋㅋ

  • @user-dp2hc5bi4f
    @user-dp2hc5bi4f 2 місяці тому

    선생님 감사합니다

  • @fuga9
    @fuga9 2 місяці тому

    신이 영감에서 오는지 영감이 신으로부터 오는지 시인은 일종의 영매인가 하면 그럴수 있지 않은가 그것은 자동기술의 방식이기도 하다 허나 그 영매를 오늘날. 어디서 볼수 있는가 시인의 심장을 펄떡펄떡 뛰게 만드는 그리하여 서로 죽어가는 심장을 쥐어짜게 만드는 열매는 어디에 있는가 아니 신은 어디에 있는가 자비로운 고통의 신은?

  • @user-ff7uk4kj3k
    @user-ff7uk4kj3k 2 місяці тому

    이분이 민주주의가 정이다. 정말 고생 많으세요.

  • @sunnyside6830
    @sunnyside6830 3 місяці тому

    알고리즘이 여기로.. 송태경 이 분은 천사이신듯❤

  • @user-zm1im6xx9v
    @user-zm1im6xx9v 3 місяці тому

    이타심을 넘어 고귀하고 숭고한사람 진정 아름다운사람입니다😊

  • @kss7920
    @kss7920 3 місяці тому

    국회에서 국회의원으로 일해봐야 할 분 이라고 생각됨 그동안 해오신 일과 삶에 존경을 표합니다.

  • @user-fh6hi6zi8q
    @user-fh6hi6zi8q 3 місяці тому

    송태경님 엄청 지식인이시구나

  • @JY-qn1ne
    @JY-qn1ne 3 місяці тому

    훌륭하신분이네요

  • @minberjustin
    @minberjustin 3 місяці тому

    존경스럽고...반성합니다..

  • @guitargoldgirl
    @guitargoldgirl 3 місяці тому

    정당들은 이런분을 비례대표로 왜 영입 안하는지 이해 불가~

  • @erasmooth
    @erasmooth 3 місяці тому

    진짜 진보고 진짜 좌파라고 본다. 조국같은 가라 좌파 귀족이 아님. 지금 시대는 좌우 상관없이 진짜배기를 찾기 힘들어서 희소가치가 있는 인물

  • @White-Gloves
    @White-Gloves 3 місяці тому

    이분.... 대단하신 분입니다... 거의 부처 수준임....

  • @KIM010-dq8bb
    @KIM010-dq8bb 3 місяці тому

    자본론은 이해해도 본인 머리숱은 이해를 못하셨나..

    • @user-kx4df7pw3o
      @user-kx4df7pw3o 5 днів тому

      참 어의없네...당신 생긴것이 궁금하네

  • @Jna-xg2gj
    @Jna-xg2gj 3 місяці тому

    민생연대

  • @Jna-xg2gj
    @Jna-xg2gj 3 місяці тому

    송태경

  • @MKS-yq5ce
    @MKS-yq5ce 3 місяці тому

    잘보고갑니다

  • @bluenimpful
    @bluenimpful 3 місяці тому

    존경합니다

  • @user-lg7qg4wj6x
    @user-lg7qg4wj6x 3 місяці тому

    대단하다 이분!

  • @user-rb4np9go5e
    @user-rb4np9go5e 3 місяці тому

    민생연대를 물질과 마음 모두 사용해 후원하겠습니다. 부디 건강하게 그 자리에 오래도록 계셔 주세요.

    • @user-kx4df7pw3o
      @user-kx4df7pw3o 5 днів тому

      현재 유일하게 후원하고 싶어서 후원중

  • @user-hl5tb2ur2i
    @user-hl5tb2ur2i 3 місяці тому

    얼마전 선생님의 뉴스를 접하고 감동을 받아 아주 작은 금액을 기부하면서 이런 강의도 알게 되어 보게 되었어요. 자본론에 대해 전혀 모르지만, 대학에서도 선생님의 강의를 학생들이 듣게 된다면 큰 가르침과 귀감이 될 것 같아요. 응원하고 감사합니다. 선생님과 같은 분이 계셔서 세상을 아직도 희망이 있는 것 같아요. 건강 조심하세요.

  • @user-pn1xj4dr2g
    @user-pn1xj4dr2g 3 місяці тому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eomj0409
    @seomj0409 3 місяці тому

    진정으로 성인이십니다!!! 꼭 만나뵙고 싶습니다.~~~

  • @1116hyun
    @1116hyun 3 місяці тому

    대단하시다 그냥 돈잘벌고 잘먹고 잘살수있는 방법을 택할수도 있는데 어려운 이웃 도와주시면서 힘겹게 산다는것은 진짜 숭고한 희생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ip2px1po3z
    @user-ip2px1po3z 3 місяці тому

    이런 분 이야말로 진정한 보수라 할수있다 진보라고 떠들고다니며 권력만쫏는 양아치 만주당넘들은 반성하라

  • @user-hz8mx9ds6e
    @user-hz8mx9ds6e 3 місяці тому

    민생연대 방송보고 왔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후원 조금 했어요.